firestore 프로젝트 시작시 깊이 고민하지 않고 기본 region인 us-central 을 선택했다.
hosting으로 프로젝트를 배포하고나니 생각보다 속도가 안나온다.
구글링의 결과로 아래 주소를 얻었다. 한국에서 오후 5시 기준으로 latency를 체크한 결과다.
GCP ping
How does this work? Your browser makes HTTP requests to f1-micro instances in each region. The median time between request and response is shown. The global row uses a Global HTTP Load Balancer to route requests to the nearest healthy instance. This is not
www.gcping.com

FireStore에는 아쉽게도 asia-northeast3 선택지가 없다. GCP compute engine 등으로는 사용 가능하나 아직 안되는 것일까..?
============================================================================
2020.07.09 수정
FireStore에서 asia-northeast3을 선택할 수 있다. 지금 가능하고, 아마 저때도 가능했을 것이다. 나만 몰랐을 뿐이다. 구글 오류인지 모르겠지만 Firebase 콘솔에서 지역을 선택하려면 asia-northeast3 선택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하지만 GCP로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asia-northeast3을 선택할 수 있다. GCP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Firebase에서도 해당 프로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Ionic & Angular & Fire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nic] Capacitor와 Cordova 차이점. (0) | 2020.07.09 |
---|---|
[GCP/Firestorage] GCP CORS정책 설정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오류 (0) | 2020.04.22 |
[Firebase] Hosting에 Angular/Ionic 프로젝트 배포하기 02 (0) | 2020.03.12 |
[Firebase] Hosting에 Angular/Ionic 프로젝트 배포하기 01 (0) | 2020.03.12 |
[Firebase] FCM 구현시, 내 프로젝트에 API키 세팅하기 (0) | 2020.02.11 |